본문 바로가기
베트남 경영

상호관세란 무엇인가?

by 고리스s 2025. 4. 3.
반응형

📌 상호관세란 무엇인가?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는 말 그대로 **“우리에게 부과하는 만큼 똑같이 상대국에 부과하겠다”**는 무역 정책입니다.
예를 들어, A국이 미국산 제품에 20%의 관세를 매긴다면, 미국도 A국 제품에 20% 관세를 매기겠다는 논리입니다.

이는 자유무역주의와는 반대되는 보호무역주의 정책의 일환으로, 무역 불균형 해소를 목적으로 합니다.


📦 모든 품목에 부과되는 것인가?

아닙니다.
트럼프 전 대통령의 상호관세는 ‘전 품목 일괄 적용’이 아닌, 주요 수입 품목 또는 전략 산업에 집중하여 선택적으로 적용됩니다.

🔹 적용 가능 품목 예시:

  • 자동차 및 부품
  • 철강 및 알루미늄
  • 전자제품
  • 의류 및 섬유
  • 농산물

다만, 미국의 관세 정책은 통상대표부(USTR)나 상무부, 국무부 등 다양한 부처와의 협의를 통해 국가별·품목별로 다르게 적용될 수 있습니다.

 

트럼프는 왜 상호관세를 꺼내들었을까?

트럼프 전 대통령은 **“미국은 항상 당해왔다(America is always losing)”**는 주장 아래, 다음과 같은 이유로 상호관세 정책을 강조합니다.

1. 무역적자 해소

  • 미국은 중국, 베트남, 한국, 일본 등과의 대규모 무역적자를 겪고 있음.
  • 이로 인해 미국의 일자리와 제조업 기반이 붕괴되었다고 판단함.

2. 공정 무역(Fair Trade) 요구

  • 자국 제품에 높은 관세를 매기는 나라에는 ‘보복 관세’로 대응하겠다는 입장.
  • 공평하지 않은 무역 조건을 맞추겠다는 메시지임.

3. 정치적 목적

  • 자국민에게 강한 대통령, 자국 산업을 지키는 리더 이미지를 부각.
  • 대선 국면에서 중산층·블루칼라층 유권자 결집 효과를 노림.

⚠️ 상호관세의 위험성은?

상호관세는 자국 산업을 단기적으로 보호할 수 있지만, 다음과 같은 부작용이 있습니다.

  • 보복관세의 악순환 → 무역전쟁
  • 수입 물가 상승 → 소비자 부담 증가
  • 글로벌 공급망 붕괴 위험
  • WTO 규정 위반 소지

특히, 미국의 관세 부과가 동맹국까지 포함할 경우 외교적 마찰도 피하기 어렵습니다.


✅ 요약

구분내용
정의 상대국이 미국산 제품에 부과한 만큼 동일하게 관세 부과
적용 범위 일부 전략 품목 위주 선택적 적용
목적 무역적자 해소, 공정 무역, 정치적 효과
위험 요소 무역 보복, 소비자 부담, 외교 갈등

 

728x9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