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프로젝트 관리

미국 상호관세 부과, FTA는 무효가 되는가?

by 고리스s 2025. 4. 22.
반응형

– 자유무역협정과 미국의 보호무역정책 충돌, 어디까지가 법적? 어디까지가 정치적?


2025년, 미국 정부가 본격적으로 추진 중인 상호관세(Reciprocal Tariff) 정책이 전 세계 무역 구조에 파장을 일으키고 있습니다.
특히 한국을 포함한 자유무역협정(FTA) 체결국들은 혼란스럽습니다.

“미국이 이렇게 일방적으로 관세를 올리면,
한미 FTA 같은 건 다 무효 아닌가요?”

이런 질문, 수출입 실무자나 해외사업 담당자라면 누구나 한 번쯤은 해봤을 겁니다.


📌 결론부터 말하자면:

FTA는 무효화되지 않습니다.
❗ 하지만 실질적으로는 훼손될 수 있습니다.

법적으로는 살아 있지만,
정치적으로는 무시되고 있는 것이죠.


✅ FTA는 ‘무효화’되기 어렵다

FTA(Free Trade Agreement) 는 국가 간 공식 조약으로,
일방적으로 파기하거나 조건을 무시하는 건 법적으로 큰 문제가 됩니다.

FTA를 완전히 종료하려면 다음 조건을 따라야 합니다:

  • 상대국에 공식 통보 (통상 6개월~1년 전)
  • 조약 종료 규정에 따른 이행
  • 국제법상 이탈에 따른 후속 협상 또는 분쟁 해결

👉 따라서, 미국이 상호관세를 부과했다고 해서 FTA 자체가 무효가 되는 건 아닙니다.


❗ 그런데 왜 FTA가 무력화된 느낌일까?

그 이유는 상호관세가 FTA의 핵심 정신을 정면으로 위배하기 때문입니다.

FTA는 본래 무역 장벽을 줄이고 자유로운 거래를 보장하는 것인데,
미국이 특정 품목에 대해 일방적으로 보복성 관세를 부과하면,
실질적으로 FTA에 명시된 ‘관세 철폐’ 조항이 무력화되는 겁니다.

📍 예시: 철강·알루미늄 관세 사태 (2018년 트럼프 정부)

  • 미국은 무역확장법 232조를 근거로,
    한국·EU 등 FTA 체결국까지 포함해 고율 관세를 부과했습니다.
  • 당시 FTA 무시 논란이 커졌고,
    한국은 예외를 받기 위해 **쿼터(수출 물량 제한)**를 수용해야 했습니다.

📊 정리: 상호관세와 FTA의 관계

항목설명
FTA 자체의 효력 🔵 살아 있음 (법적 무효 아님)
특정 품목에 대한 관세 부과 🔴 가능 (미국 국내법으로 예외 조항 활용)
실질적 FTA 혜택 🔶 축소됨 (사실상 'FTA 우회')
상대국의 대응 가능성 ✅ WTO 제소, ISDS 투자 분쟁, 재협상 등

🤝 한국은 어떻게 해야 할까?

  1. 외교적 대응 강화
    • 무역 당국은 한미 FTA의 조약 조항을 근거로 미국 측에 유권 해석과 예외 요구 필요
  2. WTO 및 ISDS 적극 활용
    • 미국의 조치가 FTA 또는 WTO 협정에 위배될 경우, 국제기구를 통한 다자 압박 활용
  3. 장기적 전략: 무역 다변화
    • 특정국 의존도를 낮추고, 동남아, 중남미, 유럽 등 신규 시장 개척 필요

 

📌 미국의 상호관세 정책은 FTA를 법적으로 무효화하지는 않지만,
FTA의 실질적 효과를 축소시키고 있습니다.

이것은 일종의 **"FTA 유효, 그러나 무력화된 상태"**인 셈입니다.

앞으로의 관건은, 얼마나 강한 외교력과 전략으로 미국의 정책을 견제하느냐,
그리고 국내 기업이 얼마나 빠르게 적응하느냐에 달려 있습니다.


 

728x90
반응형